홈페이지 제작 필수 체크리스트 7가지

musigned by musign

1. 예산

예산에 따라 홈페이지 기획단계부터 선택지가 달라집니다.

홈페이지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예산입니다. 예산에 따라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어내거나,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필히 예산이 얼마인지, 연 비용이 얼마인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비용 체크 리스트

◇도메인/호스팅 비용

◇기획/디자인/개발 비용

◇콘텐츠 라이센스 비용

2. 도메인/호스팅 보유여부

도메인과 호스팅 보유여부를 먼저 파악하고, 없을 경우 기업홈페이지 구축에 특화된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첫번째로, 도메인은 홈페이지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업홈페이지는 특히 기업명이 드러나야하며,

쇼핑몰이라면 쇼핑몰의 이름 혹은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구두 쇼핑몰이라면 shoe/shoes 등의 키워드를 포함한 도메인을 선정한다면 어떤 사이트인지 한눈에 짐작할 수 있겠죠?

특히, 쇼핑몰의 경우에는 브랜드 네이밍 단계부터 카테고리가 드러나거나 전체적인 상품의 분위기가 내포된 네이밍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로 호스팅 업체 선정 단계에서는 호스팅 속도, 프로그램 지원여부와 안정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개발에 필요한 기능이나 자동백업 기능을 제공하는지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고, 서버 OS 버전과 DB환경, 이메일 계정 지원 여부 등

앞으로의 운영을 위한 환경까지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속도의 경우 업체의 호스팅을 이용하고 있는 사이트에 직접 방문해서 로딩속도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이 때에는 모바일과 PC로 각각 접속해서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UX/UI 기획과 디자인

홈페이지의 목적에 따라 편의성과 명확한 정보전달이 될 수 있는 UX/UI 기획과 효과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업체선정이 필요합니다.

3-1. 기획

▶ 홈페이지의 목적에 따른 메뉴 구성

ㄴ직관적이면서도 모든 콘텐츠가 담길 수 있도록 메뉴를 구성해야 합니다.

▶ 메인 페이지는 홈페이지의 중심!

ㄴ 중요한 정보가 메인페이지에서 한눈에 보이도록 구성합니다.

(문의전화, 메인상품, 이벤트 안내 등)

ㄴ메인 페이지와 서브 페이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기획하고,

서브 페이지로 이동되는 메뉴, 링크 등이 구분될 수 있는 UI 디자인을 구성해야합니다.

▶ UI 기본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법칙을 사용

ㄴ 일반적으로 메뉴/로그인/회원가입 등의 버튼은 상단에, 회사의 주소와 연락처,

사이트맵 등은 하단에 배치합니다. 이처럼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편의성을 높여줍니다.

3-2. 디자인

▶ 정보전달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메인컨셉과 맞는 아름다운 디자인

▶ 메인 컨셉에 따라 메인 컬러, 서브 컬러, 폰트 등을 규격화하여 통일성 확보

▶ 고해상도/고퀄리티 이미지 콘텐츠 제작 및 사용

4. 반응형 홈페이지/호환성 체크

브라우저 환경, 운영체계, 디스플레이 환경 등에 호환성 이상이 없는지 체크하고, PC 웹과 모바일 웹을 아우를 수 있는 반응형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반응형 웹은 하나의 도메인으로 PC와 모든 스마트 기기에 최적화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레이아웃이나 웹의 해상도 등이 디바이스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이 되기때문에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3(CCS3) 미디어 쿼리, 유동형 그리드 등이 적용됩니다.

특히 한 번의 개발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초기 개발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됩니다.

홈페이지의 호환성 체크를 할 때에는 디바이스나 브라우저 환경이 바뀜에 따라 UI, 레이아웃이 깨지지는 않는지 이미지나 동영상이 표시되지 않거나

재생되지 않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PC환경에서 모바일 환경으로 옮겨왔을때 숨겨지는 메뉴나 기능이 있다면 화면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보여지는지 또한 마찬가지로 확인해야 합니다.

5. 개발

홈페이지 목적에 따른 메뉴 구성 및 다양한 디자인 요소에 따라서 필요한 기능들을 추려야 합니다. 이 때 결정된 기능들을 통해 개발 규모가 결정됩니다.

▶ 정보전달만 필요한 홈페이지라면 html만을 이용해도 이미지와 글 전달 가능

▶ 회원제 도입, 게시판, 이커머스(E-commerce) 결제 시스템 등의 기능여부에 따른 개발 언어 선택

저예산의 작은 사이트일 경우 기능을 축소시키는 등 개발 단계에서의 비용절감 필요

워드프레스, 제로보드 등의 설치형 블로그를 이용하거나 CMS, 호스팅 업체의 홈페이지 빌더 등의 다양한 선택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마케팅 및 검색엔진 최적화(SEO)

UI 아이콘, 네비게이션 등의 고객 행동을 유도하는 마케팅 요소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합니다. 또한, SEO를 위해서라도 양질의 콘텐츠를 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사용자의 기대행동에 따른 UX/UI 기획 및 디자인

▶ 사용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기본 정보 제공 (연혁, 협력사, 포트폴리오, 인증서 등)

▶ 파비콘 사용

▶ 메타태그 사용

▶ 매력적인 타이틀과 양질의 콘텐츠

7. QA (품질 관리/품질 보증)

개발 단계와 사이트 가오픈까지 마쳤다면, QA(quality assurance)를 실행해야 합니다.

QA는 일반적으로 게임업계의 직종 중 하나로, 게임의 품질을 위해 제품 출시 이전에 확인하고 테스트하는 업무를 의미합니다.

버그를 찾아내는 것 뿐 아니라 특별히 어렵거나 작동이 불편한 부분은 없는지, 기획자의 의도대로 게임진행이 되는지 등을 확인하고,

게임 출시 후 이슈가 될만한 문제점들이 없는지 등을 확인하고 테스트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틀어 QA라고 부릅니다.

게임 업계 뿐 아니라, 홈페이지를 구축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이런 검수과정이 필요한데요.

사이트를 오픈하기 직전이나 오픈 이후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는지, 누락된 정보는 없는지부터 오픈직후 눈에 띄는 수정사항이나

추가요청사항이 있다면, 새로 적용하고 검수하는 작업까지 꼼꼼하게 진행되어야 합니다.

기업 웹사이트는 한번 만들어지면 짧게는 2-3년 길게는 10여년까지 이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검수작업이 필요합니다.